경제용어사전

국제노동기구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국제노동기구.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근로자의 지위향상을 꾀하려는 국제기구. 각국의 노동입법, 적정한 노동시간, 임금, 노동자의 보건, 위생 등에 관한 권고나 지도를 하고 국제노동기준을 제정, 가입국이 그것을 준수하도록 감독하며 노동자의 생활에 관한 조사연구를 한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국제연맹의 한 기관으로 제네바에서 창설되었으며, 1946년 12월 유엔 최초의 전문기관으로 발족하였다. 총회는 각 회원국에서 대표 4명(정부2, 노동자1, 사용자1)이 출석하는 3자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연 1회 개최한다.

ILO가 가장 중시하고 있는 기본원칙은 ILO조약 제87호로 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의 옹호에 관한 조약이다. 이것은 노동자와 사용자가 사전 인가를 받지 않고 단체를 설립할 수 있는 권리와 가입할 수 있는 권리로,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를 인정하고 그 단결권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183개 회원국이 있으며 한국은 1991년 152번째로 가입했다.

  • 고스트현상[ghost image problem]

    디스플레이에 잔상이 남아 번져보이는 현상.

  • 기업 체크카드

    결제 계좌의 잔액 범위 내에서 이용 가능한 기업 카드로, 국내에서만 이용 가능하고 신용 공...

  • 가등기[provisional registration]

    장래의 본등기에 대비하여 미리 등기부상의 순위를 보전하기 위해 행하는 등기. 가등기...

  • 국제표준배출가스시험방식[Worldwide Harmonized Light Vehicles Test Procedure, WLTP]

    가속, 제동, 정차시의 배기가스 배출에 대한 테스트 방식으로 이전의 유럽연비측정방식(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