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기확산지수

[Diffusion index, DI]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문에서 시작되어 점차 전체 경제부문으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이다. 경기판단 및 예측을 하기 위한 경기변동 측정방법들중의 하나다. 계절변동과 불규칙변동이 제거된 각 구성지표들 중 증가의 방향으로 움직인 지표수가 전체 지표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백분비로 나타낸 것이다. 현재 구성지표는 경기종합지수(CI)와 동일한 지표인 선행·동행 10개, 후행 6개 지표를 이용하여 작성된다. 이 지수가 50을 넘으면 경기는 확장국면에, 50보다 낮으면 수축국면에, 50이면 경기전환점이 되는 시점으로 판단한다.

  • 국민의료법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통해 국민건강을 보호 증진하기 위해 1951년 9월 제정됐다. 1973...

  • 기금[fund]

    특정한 공공사업수행을 위해 정부 또는 공공단체가 설치한 자금. 경제상황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 골판지[Corrugated fiberboard]

    원판지에 물결 모양의 골심지을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판지. 비교적 가벼운 무게의 재료를 사...

  • 거꾸로 교실[flipped-learning]

    무크(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등을 활용해 온라인 선행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