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노출
[over-exposure]외채 위기에 즈음하여 1970년대에 비산유개발도상국에 대출한 국제은행들은 그들의 자본금 등에 비교하여 개발도상국에 너무 많이 대출하였고, 또 그러한 대출이 소수의 나라에 집중되어 있음을 지적하게 된다. 이러한 과다노출의 인식에 따라 외채국에 대한 더 이상의 대출을 하지 못한 채 과거의 대출상환을 연기해주거나 차환해주는, 소위 비자발적 대여를 하는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
은행이 대출한 것을 예정대로 상환받을 수 없게 되면 예금자의 인출요구에 대해 즉시 응해줄 수가 없고, 이것이 알려지게 되면 이른바 연쇄적 예금인출사태가 나타나게 된다. 국내금융에서는 이런 사태에 대해 중앙은행에 의한 최후의 대여자 기능이 준비되어 있다.
그러나 국제금융에서는 이러한 최후의 대여자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은행이 대출을 상환받지 못하게 되면서 국제금융권이 위기에 처하기 쉽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외채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탕감을 해주어야 한다는 종래의 의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의 대응방안은 채무재조정 등 상환연기가 주종을 이루어왔다.
-
금속분리판
금속분리판은 전극막 접합체와 함께 수소전기차 및 건물 및 발전용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으로 ...
-
가장매매[wash sale]
동일인이 같은 종목의 주식에 대해 매수와 매도주문을 동시에 내 거래가 활발한 것처럼 꾸미는...
-
구매력평가지수[purchasing power parity, PPP]
환율의 결정을 각국 화폐의 구매력 차이로 설명하는 이론으로 스웨덴 경제학자 구스파트 카셀에...
-
긴급조정권[emergency adjustment, emergency arbitration]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거나 국민경제에 커다란 양향력이 있는 사업장에 노동쟁의 행위가 발생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