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매력평가

[purchasing power parity, PPP]

구매력 평가(PPP)는 각국 통화의 실질 구매력 차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균형 환율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스웨덴 경제학자 구스타프 카셀에 의해 제기되었으며, 모든 나라에서 동일한 재화는 가격이 같아야 한다는 '일물일가의 법칙'을 핵심 전제로 한다.

PPP 환율은 단순 시장 환율과 달리 물가 수준의 차이를 제거하여 국가 간 실질 경제 규모와 생활 수준을 정확히 비교하는 데 활용된다. 이를 통해 산출된 PPP 기준 GDP는 저개발국 통화의 구매력을 과소평가하는 시장 환율의 한계를 보완한다. 영국의 '빅맥 지수'는 이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여 통화의 고평가 또는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 가격연동제[價格連動制, price sliding system]

    가격 연동제는 특정 상품의 가격을 다른 상품의 가격과 연관 지어 결정하는 시장 가격 제도이...

  • 경험 데이터[experience data]

    경험 데이터는 성별, 나이 등 고객의 단순 정보 수준을 넘어 제품 및 서비스 구매 만족도·...

  • 글로벌 인프라와 투자 파트너십[Partnership for Global Infrastructure and Investment, PGII]

    G7 정상들이 2022년 6월 26일 출범을 공식 선언한 글로벌 인프라·투자 파트너십을 말...

  • 간섭제어시스템[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ICS]

    위탁받은 제품을 생산해 주는 기업으로 바이오, 제약 부문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 생산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