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력평가
[purchasing power parity, PPP]구매력 평가(PPP)는 각국 통화의 실질 구매력 차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균형 환율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스웨덴 경제학자 구스타프 카셀에 의해 제기되었으며, 모든 나라에서 동일한 재화는 가격이 같아야 한다는 '일물일가의 법칙'을 핵심 전제로 한다.
PPP 환율은 단순 시장 환율과 달리 물가 수준의 차이를 제거하여 국가 간 실질 경제 규모와 생활 수준을 정확히 비교하는 데 활용된다. 이를 통해 산출된 PPP 기준 GDP는 저개발국 통화의 구매력을 과소평가하는 시장 환율의 한계를 보완한다. 영국의 '빅맥 지수'는 이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여 통화의 고평가 또는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
그림자 내각[shadow cabinet]
야당이 정권을 잡았을 때를 대비해 만든 예비 내각. 당연히 야당 소속 의원들로만 이루어진다...
-
국민총처분가능소득[Gross National Disposable Income, GNDI]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총소득을 말하며, 소비율, 투자율, 저축률 등을 ...
-
경기동향지수[diffusion index, DI]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나 방향만...
-
공동면적
공동주택중 주거전용면적 이외의 2가구 이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계단, 승강기실, 복도, 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