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개매수

[tender offer bid, take over bid, TOB]

주식의 공개매수는 기업인수·합병(M&A)의 한 형태로서 회사의 지배권 획득 또는 유지·강화를 목적으로(예외적으로 상장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음) 주식의 매수희망자가 매수기간·가격·수량 등을 공개적으로 제시하고, 유가증권시장 밖에서 불특정다수의 주주로부터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주식의 공개매수는 일반적으로 대상기업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적대적 M&A의 일종으로, 공개매수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매수희망기업과 대상기업 또는 대주주 사이에 지분확보 및 경영권방어를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인수자 측이 대상기업에 방어할 시간을 주지 않기 위해 공휴일인 토요일 저녁 황금시간대 TV를 통해 공개매수를 선언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토요일 밤의 기습(Saturday Night Special)’이라 부르기도 한다.

  • 거래량 이동평균선

    주가상승시 매입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거래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하락시는 그 반대...

  • 공시최고[public summon]

    주권의 분실이나 도난 등을 당했을 때 공시최고라는 절차를 통하여 그 주권을 무효로 한 후 ...

  • 개시증거금

    선물거래는 현재의 시세를 미래 특정 시점에 결제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이므로 최종결제일에 당해...

  • 국제비상경제권법[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 IEEPA]

    국가 안보상 ‘이례적이고 특별한 위협’이 발생할 경우 미국 대통령이 상대국을 경제 제재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