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유 가치 창출

[Creating Shared Value, CSV]

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를 조화시키는 경영으로, 2011년 마이클 포터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처음 제시한 용어다.

사회공헌활동(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단순히 돕는 차원에 머무른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사회적 약자와 함께 경제적 이윤과 사회적 가치를 함께 만들고 공유하는 공유가치창출(CSV·created shared value) 활동으로 진화하고 있다.

CSV는 CSR과 비슷하지만 ‘가치 창출’이라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 CSR은 선행을 통해 기업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기 때문에 기업의 수익 추구와는 무관하다. CSV는 기업의 사업 기회와 지역 사회의 필요가 만나는 지점에서 사업적 가치를 창출해 경제적·사회적 이익을 모두 추구한다.

한편, 2017년 12월 3일 신흥국 진출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해당 국가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기업의 이윤을 추구하는 공유가치창출(CSV) 사업 모델의 성공사례와 전략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KOTRA는 신흥국의 경우 경제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안고 있지만 이를 독자적으로 해결할 역량이 부족해 공유가치 창출형 사업이 특히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일본 아지노모토는 어린이 영양상태가 열악한 신흥국에 맞춤형 이유식과 급식용 영양식을 공급하고 있다. 스위스계 제약사 노바티스는 신흥국 빈곤층의 질병 예방을 위해 의약품 가격을 현실화했다. 사회적 기업 새니베이션은 야외 재래식 변소가 일반적인 아프리카에 박스 형태의 화장실을 집 안에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보고서는 모두 철저한 현지화가 있었기에 가능한 사업 모델이라며 △사회적 수요 발굴 △수요 제품개발 △원료 확보 및 생산 현지화 △유통채널 확보 등 단계별로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교육권

    교육을 받을 권리, 교육을 할 권리 또는 양자를 포함하는 권리를 의미한다. 교육을 받을 권...

  • 개호변액

    계약자가 맡긴 자금을 보험사가 운용해 거기서 얻은 수익만큼 계약자들에게 되돌려주는 보험상품...

  • 공공자금관리기금

    정부가 연금, 기금, 우체국 예금 등과 같은 공공자금을 민간시장에서 굴리지 않고 공공투자나...

  • 금본위제[gold standard system]

    통화 가치를 순금의 중량에 연계하는 화폐제도. 미국은 1944년 브레턴우즈체제를 통해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