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글로벌 안정 메커니즘

[Global Stability Mechanism, GSM]

글로벌 안정 메커니즘은 국제적 금융위기에 따른 동시다발적 시스템 위험(risk)에 대비하는 장치. 해당 국가의 요청이 없어도 IMF가 일시적 위기 우려 국가에 선제적으로 신용공여 설정을 제안하는 개념으로, 수혜국에 대한 ''낙인효과''(stigma effect)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10년 한국에서 열린 G20정상회의에서 의장국인 한국이 적극 추진했지만, 독일 등 일부 선진국이 ''수혜국이 도덕적 해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며 반대, 미완에 그쳤다. 대신 G20은 IMF의 탄력대출제도(FCL), 예방대출제도(PCL) 도입 등 대출제도를 개선했다.

  • 광동축혼합망[hybrid fiber-coax network, HFC]

    광전송로와 동축 구리선이 혼합된 유선 전송망이다. HFC를 이용하면 네트워크를 전부 광섬유...

  • 그린 타이[green tie]

    ‘녹색 유대’란 뜻을 가진 지구온난화 방지기구. 지구온난화 억제와 결정적 관계가 있는 에너...

  • 개방형 인플레이션[open inflation]

    물가를 통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물가가 오르는 현상. 이에 반해 수요가...

  • 기부신탁[trust contribution]

    위탁자가 금전이나 부동산 채권 유가증권 등의 자산을 은행에 맡긴 뒤 생전에 운용 수익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