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문형보험

 

계약자가 특정 위험만을 부보할 수 있는 보험상품. 대형 위험의 발생 가능성을 안고 있는 기업들의 특정 위험만을 선별적으로 부보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주문형보험으로는 제약업체 등을 위한 제품회수비용, 배상책임보험 외에 서울 지하철공사가 사고발생시 승객에게 보험금을 지급하기 위해 주문한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주문형보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대형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보험계약자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자신의 보상능력과 부담가능 보험료 범위에 맞추어 보상범위와 면책범위를 선택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 정상가격사전승인제

    국가간 세율이 다른 점을 이용, 기업이 외국에 있는 자회사에 상품을 팔면서 정상가보다 지나...

  • 지식자산

    공장 설비 등 물적 자산이나 현금 투자 등 금융 자산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기업의 지식경영과...

  • 중진국 함정[middle income trap]

    개발도상국이 경제발전 초기에는 순조롭게 성장하다 중진국 수준에 와서는 어느 순간에 성장이 ...

  • 집행권원

    국가의 강제력에 의해 실현될 청구권의 존재와 범위가 표시되고 집행력이 부여된 공정증서를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