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문형보험

 

계약자가 특정 위험만을 부보할 수 있는 보험상품. 대형 위험의 발생 가능성을 안고 있는 기업들의 특정 위험만을 선별적으로 부보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주문형보험으로는 제약업체 등을 위한 제품회수비용, 배상책임보험 외에 서울 지하철공사가 사고발생시 승객에게 보험금을 지급하기 위해 주문한 시설소유자배상책임보험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주문형보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대형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보험계약자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자신의 보상능력과 부담가능 보험료 범위에 맞추어 보상범위와 면책범위를 선택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

    재건축 사업으로 통상 주택 가격 상승분을 넘어서는 이익이 생길 경우 국가가 환수하는 제도....

  • 주택청약부금

    아파트를 분양받을 수 있는 자격 외에 주택자금까지 융자받을 수 있는 저축이다. 가입자는 월...

  • 자연 자본 관련 재무 정보 공개 태스크[Task Force on Natur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NFD]

    생물 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붕괴를 예방하기 위해 2021년 세계환경의 날인 6월 5일 출범...

  • 자본금[equity capital, capital stock]

    채권자 보호의 관점에서 회사의 자산을 사내에 유보시키는 최소한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통 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