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적시생산방식

[just in time, JIT]

입하 재료를 재고로 두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상품관리방식. 재고를 ‘0’으로 하여 재고비용을 최소화하려는 것으로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가 1990년대 후반 비용절감, 재고절감, 결함제거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만든 경영기법이다. 재료가 제조라인에 투입될 때에 맞추어 납품업자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상태에 접근하려는 것이다. 제조 공정의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표준생산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제품을 필요할 때 필요한 양만큼 만들어 공급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부품조달에 차질이 생기면 생산라인 전체가 서버리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 자본집약[capital intensive]

    부동산, 공장설비, 기계장치 등 엄청난 자본의 투자를 요구하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 지적도

    지적법에 따라 토지의 경계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토지의 필지마다 지번, 지목, 경계선 등...

  • 주당순자산[book value per share, BPS]

    기업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이 자기자본인데 여기서 무형자산, 이연자산 및 사외유출분(...

  • 장수리스크[Longevity Risk]

    퇴직후 예상보다 더 살게됨으로써 발생하는 위험. 구체적으로는 연금수령자 입장에서는 사망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