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정부신용

 

정부가 금융기관에 정부예금계좌를 개설하여 놓고 세금을 거두어 들이거나 세출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금융기관을 이용하기 때문에 주로 발생되는 부문. 그 규모는 정부의 재정수지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정부가 세금을 거둬들이면 시중에 있던 돈이 정부의 은행인 한국은행의 금고로 들어오게 되므로 시중에 유통되는 돈은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정부에서 공무원에게 봉급을 주거나 건설업자 등에게 정부공사의 대금을 지급하면 이 돈은 한국은행에 설치된 정부예금계좌에서 민간에게 지급되기 때문에 그만큼 통화가 늘어난다.

따라서 정부가 거두어들인 돈보다 지급할 돈이 많아 은행에서 돈을 빌려 민간에게 지급할 경우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은 정부부문을 통하여 늘어나게 된다. 만약 정부가 세입 범위 내에서 세출하는 균형재정 상태를 유지한다면 정부부문은 통화의 공급에 관하여는 중립적인 부문이 될 것이다.

  • 자동차 리콜

    자동차가 안전 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안전 운행에 지장을 주는 결함이 있을 때 자동차 제작·조...

  • 주택경기실사[Housing Business Survey Index, HBSI]

    주택산업연구원이 매월 25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 500...

  • 정밀의료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과 개인의 유전체 정보, 임상 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을 활용해 맞...

  • 자산할당방법

    보험 계약 금액이 보험사의 자산 형성에 기여한 공헌도를 평가하는 방식. 계약자들이 낸 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