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매력평가지수

[Purchasing Power Parity Index, PPP Index]

구매력평가지수는 각국의 물가 수준을 반영해 통화의 실질 구매력을 조정한 뒤, 국가별 경제 규모나 1인당 소득 등을 비교할 수 있게 만든 경제 지표다.

명목 환율이나 명목 GDP만으로는 국가 간 경제력을 온전히 설명하기 어렵다. 물가 차이와 통화가치의 격차가 때로는 실상을 왜곡하기 때문이다. 이 지수는 같은 양의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기준으로 삼아, 보다 정확한 생활 수준과 실질 경제력을 보여준다.

예컨대 어떤 나라의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가 높다는 것은, 해당 통화가 자국 내에서 더 많은 재화를 구매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질적 부의 체감 수준이 그만큼 높다는 뜻이다.

이 개념을 보다 직관적으로 설명한 사례가 바로 ‘빅맥 지수’다. 맥도날드의 대표 메뉴인 빅맥 햄버거가 세계 각국에서 얼마에 팔리는지를 비교해, 통화의 고평가 혹은 저평가 여부를 가늠하는 방식이다. 한눈에 보기엔 단순하지만, 통화의 실질 가치를 짚어보는 데 적지 않은 통찰을 제공한다.

관련어

  • 경과이자[accrued interest]

    최근 매수일부터 매도 또는 만기일까지 보유 기간 동안 표면금리에 의해 산출된 과세표준을 의...

  • 긴급정지명령제

    소비자 보호를 목적으로 사업자의 불공정행위를 공정거래위원회의 행정처분으로 강제적으로 정지시...

  • 금리캡과 금리플로어

    시중금리의 변동폭이 커짐에 따라 "금리캡(Cap)과 금리플로어(Floor)"를 이용한 파생...

  • 그랩[Grab]

    싱가포르에 본부를 둔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공유 업체. 말레이시아 출신 앤서니 탄이 설립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