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우치형 배터리

 

양극과 음극, 분리막 등의 소재를 돌돌 감은 '젤리롤(Jelly roll)' 형태의 전극이나 소재를 층층이 쌓은 ‘스태킹(Stacking)’ 형태의 전극을 셀 파우치로 감싼 모양의 2차전지다.

원통형 캔, 각형 캔 배터리와 비교해 내부 공간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에너지 보관 밀도가 크고, 외관이 단단하지 않아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어 전기차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의 디자인에 따라 알맞은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다.

파우치형 배터리는 이런 강점을 바탕으로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배터리 전문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파우치형 배터리 점유율은 2018년 14.4%에서 2020년 27.8%로 약 2배 가량 상승했다.

셀 파우치는 재료가 되는 알루미늄 필름의 품질이 가장 핵심이다. 현재 전세계 셀 파우치용 알루미늄 필름 시장은 일본의 제조기업 2개사가 점유율 90% 이상으로 사실상 독점상태이며 설비, 재료, 공정, 품질 등 모든 분야에 기술 장벽이 매우 높아 신규 기업의 진입이 어려운 시장이다.

셀 파우치용 알루미늄 필름은 알루미늄을 미크론(1mm의 1/1000) 단위의 균일한 두께로 매우 얇게 가공하는 동시에 미세한 흠집이나 구멍이 하나라도 발생해서는 안 되는 품목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구멍 하나가 배터리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전기차 배터리의 파우치 필름 불량은 생명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에 셀 파우치용 알루미늄 필름은 품질 기준이 매우 엄격하고 생산이 어렵다.

우리나라에선 동원시스템즈가 2022년 하반기 2차전지용 셀 파우치 생산 공장동을 준공해 이 분야에 진출할 예정이다. 동원시스템즈는 2023년 시제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5년 하반기까지 투자를 완료해 국내 최대 생산 라인을 구축할 예정이다.

  • 피드백 시스템[feedback system]

    전자공학에서는 자동적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기계의 운동이 가져오는 착오를 수정시키고 있는데 ...

  • 포치[破七, yuan breaks 7 per dollar]

    포치(破七)는 7이 파괴되다는 뜻으로 중국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는 현상을 말한...

  • 판매대리점[selling agent]

    일정한 지역에 있어 제조업자가 자사 제품의 판매대리권을 부여한 기업이다. 판매점은 특정 제...

  • 플릿판매[fleet sales]

    자동차를 팔때 개인 고객이 아니라 관공서와 기업 등 법인, 렌터카, 중고차업체 등을 대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