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나다순 색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ABC 가나다순 색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ABC 피셔 효과 [fisher effect] 중앙은행의 총통화증가율 조절은 시중실세금리와 주가에 민감하게반영되는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통화공급이 줄어들면 금리가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설득력이 높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즉, 통화긴축을 할 경우 유동성 부족으로 금리가 상승하는 유동성 효과는 단기에 그치고 중장기적으로 물가하락을 가져와 명목금리도 하락한다. 이것이 피셔 효과다. 파생상품거래세 코스피200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 거래에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2012년 8월 기획재... 표준시[standard time] 한 국가가 고유로 채택해 사용하는 평균태양시를 말한다. 각국은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 풀브라우징[full browsing] 휴대전화나 스카트폰의 무선인터넷에서도 일반 인터넷 사이트와 같은 문서와 동영상을 볼 수 있... 파파고[papago] 네이버가 인공지능(AI)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기계번역 서비스. 2017년 7월 정식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