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회적 현물이전

 

국가가 국민에게 현물로 제공하는 의료와 교육, 보육 등 상품과 서비스를 말한다. 무상복지가 대표적이다.
통계청은 2018년말까지 무상교육, 의료, 보육, 공공임대주택, 기타 바우처(서비스·상품 이용권) 등 5개 분야의 사회적 현물이전 혜택 규모를 추산할 계획이다.
사회적 현물이전을 반영하면 복지혜택이 상대적으로 큰 1분위의 명목소득이 증가해 소득격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 삼각분할합병

    인수하고 싶은 사업부문만 인수 대상 회사에서 떼어내 자회사와 합병하고 대가로 모회사 주식을...

  • 시장지배사업자·품목

    시장점유율이 높은 점을 이용해 불공정거래행위를 하는 것을 막기위해 공정거래위원회가 해마다 ...

  • 슈퍼볼지표[The Super Bowl Indicator]

    슈퍼볼지표는 미국 프로미식축구 리그(NFL)의 결승전, 슈퍼볼의 승리 팀에 따라 당해 미국...

  • 손비인정

    기업에 대해 경비로 인정해주는 것을 말한다. 기업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아 수익(re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