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타링크 프로젝트

[Starlink project]

스타링크는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로, 전 세계에 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5년 1월 8일 기준, 스페이스X는 총 7,630개의 스타링크 위성을 발사했으며, 2027년까지 12,000개의 위성을 저궤도에 배치해 글로벌 위성 인터넷망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최종적으로는 총 42,000개의 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스타링크는 102개국에서 약 300만 명의 이용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스페이스X는 2024년 한 해 동안 월평균 12회의 발사를 통해 연간 144회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2025년부터 스타링크 서비스가 제공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관련 기술기준 개정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한편, 스타링크는 영국 원웹(OneWeb)보다 약 10배 많은 위성을 보유하며 저궤도 위성 인터넷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위성으로 세계 인터넷을 구축하는 계획은 스페이스X만 추진하는 것은 아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원웹과 텔레샛, 스페이스 노르웨이가 낸 사업 신청을 이미 승인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저스가 이끄는 블루오리진도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 세포피포화 기술[cell encapsulation]

    세포를 단단한 캡슐 안에 포획해 보호하거나 원할 때 분해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 즉 달걀 ...

  • 성과기반 군수지원[performance-based logistics, PBL]

    무기체계를 개발한 업체가 개발, 배치, 운영, 유지 등까지 담당하는 제도. 2019년 1...

  • 산업재산권[industrial property]

    일정기간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로 저작권과 함께 지적재산권의 하나이다. 특허권, ...

  • 사이버 세대[cyber generation]

    인터넷 등 컴퓨터와 정보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사회환경에 익숙한 10대들을 일컫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