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선부론

[先富論, Getting Rich First)]

1985년 개혁·개방을 시도한 덩샤오핑이 제시한 국가발전 이념. 개혁개방 이후 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부 사람들이나 일부 지역이 먼저 부유해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 결과 중국은 ‘세계의 공장’을 넘어 미국과 패권을 겨룰 만큼 성장했다.

선부론은 부자가 된 사람이 점진적으로 사회 전체를 부유하게 한다는 낙수효과를 전제로 했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2013년 집권한 시진핑은 ‘위대한 중화민족의 부흥’을 기치로 내세웠다. 그러나 경제가 가라앉으면서 청년 실업률이 15%대로 치솟고 도농격차는 더 벌어졌다. 14억 인구 중 6억 명이 월수입 1000위안(약 18만원) 미만으로 연명하는 상황이다. 이에 시진핑이 다시 들고나온 게 ‘공동부유(共同富裕)’다.

이는 표현만 바꿨을 뿐 마오쩌둥의 ‘공부론’과 같다. 민간기업과 고소득층의 부를 당이 ‘조절’하고 ‘자발적’ 기부를 통해 인민과 나누자는 것이다.

관련어

  • 사우디 국부펀드[Saudi Sovereign Wealth Fund, Public Investment Fund, PIF]

    사우디 국부펀드(Saudi Sovereign Wealth Fund)는 공식적으로 공공투자기...

  • 세계국채지수[World Government Bond Index, WGBI]

    FTSE 러셀이 관리하는 이 지수는 주요 국가의 국채를 포함한 글로벌 채권 지수로, 미국,...

  • 스웨그[swag]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장인 김난도 교수가 2014년의 트렌드를 조망하면서 쓴 용어. 원래...

  •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PEF]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사모방식으로 자금을 조성하여 주식, 채권등에 운용하는 펀드. 공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