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유학기제

 

중학교에서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동안 지식‧경쟁 중심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 수업을 실시하고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활동을 운영하는 교육과정으로 자유학기 기간 동안의 학생들의 활동은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을 통해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다.
중학교 내신 성적이 고교 입시에 반영되다 보니 성적 관련 스트레스로 인해 학생들의 행복감은 낮고, 미래를 고민할 기회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늘 지적되어 왔다. 이런 배경에서 도입된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기간 중, 한 학기 또는 두 학기 동안 학생 참여형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 주제선택 활동, 동아리 활동, 예술・체육 활동, 진로탐색 활동 등의 자유학기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평가 결과는 학교생활기록부에 문장으로 기재된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의 잠재력 개발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에 목적을 두고 있다.

  •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는 기업이 6년간 감사인을 자율적으로 선임한 후, 다음 3년은 증권선물...

  • 집행권원

    국가의 강제력에 의해 실현될 청구권의 존재와 범위가 표시되고 집행력이 부여된 공정증서를 말...

  • 재건축 부담금

    재건축 사업으로 정상주택 가격 상승분을 넘어서는 이익이 생길 경우 국가가 조합원들한테 환수...

  • 주택임대차 신고제

    주택임대차 신고제는 전세보증금 6,000만 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 원 초과 임대차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