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직접세, 간접세

 

세금은 조세부담의 전가(轉嫁)가 이뤄지는가에 따라 직접세간접세로도 나눌 수 있다. 직접세는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해 조세부담이 전가되지 않는 세금이다.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취득세, 등록세, 주민세, 재산세 등이 직접세다.

반면 간접세는 납세의무자와 담세자(擔稅者)가 일치하지 않고 조세의 부담이 타인에게 전가되는 세금이다. 예를 들어 주세의 납세의무자는 주조업자이지만 주세를 실질적으로 부담하는 사람은 술을 사는 소비자다. 주조업자가 부담한 주세가 주류의 가격에 포함돼 결과적으로 주류의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것이다. 주세 외에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등이 간접세다.

  •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과 통신기술(Communication T...

  • 중간소득[median income]

    상위 소득자와 하위소득자의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을 말한다.

  • 중간감사[interim audit]

    회계기간 종료시가 아닌 회계기간 중 특정 시점에 회사의 재무기록을 검사하는 것. 중간결산이...

  • 종합심사낙찰제

    300억원 이상 공공공사에서 공사수행 능력과 가격, 사회적 책임 등을 따져 낙찰 업체를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