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지급보증 수수료
해외 자회사가 현지에 공장을 짓거나 투자하기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국내 본사가 지급보증을 해주는 대가로 받는 돈이다.
수수료율에 따라 소득 금액이 달라지고 과세 기준도 달라진다.
지급보증 수수료 정상가격은 명확한 기준이 없어 이를 규정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도 ‘Arm''s Length Price’(한 팔 길이의 가격)이라고 칭하고 있다. 즉 국가별, 상황별로 탄력적인 범위 내에서 적용하면 된다는 뜻이다.
기업은 관례적으로 지급보증액의 0.1~0.3%를 받아왔지만 국세청은 수수료율이 적정 수준보다 낮다고 판단하고 2012년부터 법인세를 추징했다.
-
흑자도산[insolvency by paper profits]
영업실적이 좋고 재무상으로도 문제가 없어 언뜻 보기엔 건전 경영을 하고 있는 기업이 갑자기...
-
하얀 석유[white petroleum]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원가의 40%를 차지하는 양극재 핵심광물인 리튬을 말한다. 검은 색인...
-
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Korea Consumer-centered Enterprise Association, KCEA]
1984년 소비자부문 실무자의 업무 역량 강화와 소통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내 유일의 ...
-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정부가 2030년대 세계 원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차세대 SMR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