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확정일자

 

어떤 증서에 대해 그 작성된 일자에 관한 완전한 증거력을 가지고 있다고 법률이 인정하는 일자를 말한다. 즉 확정일자인(印)이 있는 공증문서는 공공력이 생기고 이때 기입한 일자를 확정일자라고 부른다. 따라서 전세계약 등을 할 때 계약서를 작성하고 난 뒤 확정일자인이나 공증인이나 찍어야 그 거래가 사회적.법적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전세계약시에는 동사무소에 전입신고를 하면서 계약서 원본을 들고가 계약서상에 확정일자를 받으면 된다.

  • 희망모아

    정부가 추가 신용불량자 대책의 하나로 설립한 2차 배드뱅크로 ‘05년 5월 16일부터 업무...

  • 현물 바스켓

    주식이나 채권 등의 실물자산을 현물이라고 하고 바스켓(basket)은 장바구니를 뜻한다. ...

  • 혼류생산

    한 생산라인에서 1~2종의 차량을 제조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5~10종의 차량을 한 곳에서 ...

  • 혼합투자신탁

    주식과 채권에 동시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투신상품의 새로운 분류를 위해서 2000년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