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확정일자

 

어떤 증서에 대해 그 작성된 일자에 관한 완전한 증거력을 가지고 있다고 법률이 인정하는 일자를 말한다. 즉 확정일자인(印)이 있는 공증문서는 공공력이 생기고 이때 기입한 일자를 확정일자라고 부른다. 따라서 전세계약 등을 할 때 계약서를 작성하고 난 뒤 확정일자인이나 공증인이나 찍어야 그 거래가 사회적.법적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전세계약시에는 동사무소에 전입신고를 하면서 계약서 원본을 들고가 계약서상에 확정일자를 받으면 된다.

  • 하이퍼 노마드[hyper nomad]

    프랑스 경제학자 자크 아탈리가 사회계층을 분류하면서 사용한 용어이다. 새로운 시장과 패러다...

  • 홈 쇼핑[home shopping]

    직접 외출하지 않고 집에서 백화점, 슈퍼마켓 등의 상품정보를 보고 물건을 구매하는 것. 카...

  •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

    주 컴퓨터 또는 전체 컴퓨터를 제어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규제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는 ...

  • 해외 ETF 직접구매

    국내 금융투자회사를 통해 해외?느攘梔緻訃?ETF)즐 직접 구매(직구)하는 것. 해외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