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재건축을 통해 조합원 평균 3000만원 이상 개발이익을 얻으면 정부가 이익금액의 10-50%를 부담금으로 거두는 제도. 조합추진위원회 구성부터 입주까지 오른 집값에서 정상주택 가격상승분, 공사비, 조합운영비 등을 제외한 초과이익에 누진율을 적용해 부과한다.

한국부동산원이 재건축초과이익 산출 기관이다.

2006년 9월 도입됐다. 이후 글로벌 금융 위기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하자 2012년부터 환수제 시행이 유예됐다가 2018년 1월 1일부로 부활해 2020년 부과 절차에 들어갔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는 분양가 상한제, 안전진단과 함께 ‘부동산 정비사업 3대 규제’로 꼽힌다. 과도한 부담금이 재건축을 통한 주택 공급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 전국은행연합회[Korean Federation of Banks]

    1984년 전국 은행협회가 개편 발족한 사단법인. 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 개발기관...

  • 집단에너지사업

    집단에너지사업이란 주로 열병합발전소, 열전용보일러, 자원회수시설 등 1개소 이상의 에너지 ...

  • 제3주식시장

    거래소시장이나 코스닥시장에 상장 또는 등록되지 않은 비상장, 비등록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을 ...

  • 저공해차량 의무 판매비율

    연간 4500대 이상 차량을 판매하는 완성차 브랜드가 친환경 자동차를 의무적으로 판매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