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노플리 효과

[Panoplie Effect]

소비자가 특정제품을 소비하면 유사한 급의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 집단과 같아진다는 환상을 갖게되는 현상을 말한다.

프랑스의 사회철학자 장 보드리야르가 1980년대 처음 고안한 개념이다.

이런 현상은 구매한 물건을 통해 자신의 지위와 문화적 자본을 드러내려는 욕구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유명인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제품이 불티나게 팔리는 현상도 ‘파노플리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관련어

  • 파생결합사채[ELB·DLB]

    파생결합증권(ELS·DLS) 중에서 원금을 보장해주는 상품을 따로 분리한 형태다. 기초자산...

  • 표준 화물선 환산 톤수[compensated gross tonnage, CGT]

    선박 건조량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톤수로 배의 화물 총중량(Gross Tonnage)에 여...

  • 프로젝트 제로

    구글의 사내 보안분석팀. 이들은 2018년초 전세계에 드러난 인텔의 중앙처리장치(CPU)의...

  • [Facebook, Amazon, Netflix, Google, FANG]

    FANG은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넷플릭스(Netfli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