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평균임금

 

평균임금이란 퇴직 등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간 근로자에 대하여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 여기에는 임금의 성격을 띤 상여금도 포함된다. 고정상여금의 경우 퇴직 발생 이전 1년간 지급된 상여금 총액에 12분의 3을 곱하여 산출된 금액을 3개월분 임금총액에 더한다. 수습기간,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인한 유업기간, 업무나 업무외 부상 또는 질병의 요양을 위하여 휴업한 기간 등은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된다. 이밖에 육아휴직기간, 병역법·향토예비군 설치법 또는 민방위기본법에 의한 의무이행을 위하여 휴직하거나 근로하지 못한 기간 등도 평균임금 산정에 포함되지 않는다.

  • 폐업컨설턴트

    법인등의 사업체가 사업부진으로 청산할 때 가능한 자산손실 적게 하여 청산가치를 높일 수 있...

  • 판매대리점[selling agent]

    일정한 지역에 있어 제조업자가 자사 제품의 판매대리권을 부여한 기업이다. 판매점은 특정 제...

  • 포지티브 규제

    법률·정책상으로 허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열한 뒤 나머지는 모두 금지하는 방식의 규제를 ...

  • 풋백옵션[put-back option]

    주식이나 실물 등 자산을 인수한 투자자들이 일정한 가격에 되팔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