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에너지 목표관리제

 

기업가 정부가 에너지사용량 또는 효율에 대한 목표를 협의해 설정하고, 이행계획, 관리체계 등을 통해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제도를 말한다. 목표설정 및 이행의 자발성에 따라 자발적 협약(VA, Voluntary Agreements)과 정부협약(NA, Negotiated Agreements)으로 구분한다. 이행실적에 대한 측정·보고·검증을 통해 인센티브와 패널티를 부과해 에너지 절감을 달성하도록 유도한다. 이 제도는 2010년부터 연간 에너지 사용량 50만TOE 이상의 사업장에 적용된다.

  • 에어드롭[air drop]

    코인 거래소나 발행회사가 이벤트나 마케팅 차원에서 코인 보유자에게 투자 비율 등에 따라 신...

  • 인정기구

    법 및 국제표준관련기구에서 정한 국제기준에 의거 교정기관, 시험기관 또는 검사기관을 평가하...

  • 애플레이션[applelation]

    "애플레이션"은 2024년 유행하는 신조어로 사과(apple)와 인플레이션(inflatio...

  • 외부효과의 내부화[internalizing an externality]

    세금으로 외부효과를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정부가 생산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면 사회적 최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