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정승인

 

상속인이 상속으로 얻은 재산 한도 내에서 피상속인의 채무 및 유증(유언으로 자기 재산을 남에게 주는 것)을 변제하는 조건으로 상속을 승인하는 것. 물려받을 재산보다 갚아야 할 빚이 많을 경우 상속을 포기하는 사례가 많다.

상속을 받을 때 적극재산(재산·채권 등)뿐 아니라 소극재산(채무·유증 등)도 물려받게 되는데, 소극재산이 적극재산보다 많을 경우 상속자가 상속권을 포기하는 게 상속포기다.

관련어

  • 행동평점제[behavior scoring system]

    BSS 대출이 나간 이후 이자납부 등의 거래행태를 분석하는 것으로 나중에 상환연기나 재대출...

  • 휴먼FTA

    2015년 경제정책 방향 중 노동 분야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정책으로 외국 인력에 대한 문...

  • 호프만식 계산법[Hoffmann method]

    교통사고 피해자 등에 대한 손해배상액 계산 등에 쓰이는 방식으로 독일의 경제학자 D.호프만...

  • 환매형 아파트

    분양금액의 20~30%를 전세금 명목으로 내고 2~3년간 살아본 뒤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