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모든 신규 화학물질과 연간 1t 이상 제조·수입·판매하는 기존 화학물질을 매년 당국에 보고하고 등록 절차를 거치도록 한 것으로 줄여서 “화평법”이라고도 한다.

화학물질 수입·판매업체들에 적용되지만 물질을 사용하는 제조업체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물질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2015년 1월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2013년 5월 제정되었으며 ‘화학물질 등록과 평가에 관한 기준’을 유럽의 화평법 수준으로 높인 것이 골자다. 화학물질이 위해 물질로 판정이 나면 기업은 해당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없고 대체물질을 써야 한다.

  • 현물 바스켓

    주식이나 채권 등의 실물자산을 현물이라고 하고 바스켓(basket)은 장바구니를 뜻한다. ...

  • 하이퍼16[HIPER16]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원전연료 집합체. 내진성능 등 안전성을 높이고, 연료 손상 가...

  • 현금결제

    최종거래일까지 반대매매되지 않은 미결제약정에 대해 최종결제 때 실물을 주고받는 대신 실물과...

  •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성과를 평가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