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모든 신규 화학물질과 연간 1t 이상 제조·수입·판매하는 기존 화학물질을 매년 당국에 보고하고 등록 절차를 거치도록 한 것으로 줄여서 “화평법”이라고도 한다.

화학물질 수입·판매업체들에 적용되지만 물질을 사용하는 제조업체들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물질의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2015년 1월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2013년 5월 제정되었으며 ‘화학물질 등록과 평가에 관한 기준’을 유럽의 화평법 수준으로 높인 것이 골자다. 화학물질이 위해 물질로 판정이 나면 기업은 해당 화학물질을 사용할 수 없고 대체물질을 써야 한다.

  • 해외직접투자

    단순히 해외에서 자산을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경영참가 와 기술제휴를 목적으로 한 해외투자를...

  • 훈련 계좌제

    정부로부터 계좌카드를 받은 근로자 등이 훈련기관을 스스로 선택해 교육을 받고 훈련기관은 정...

  • 해외직접생산품규칙[Foreign Direct Product Rules, FDDR]

    해외직접생산품규칙 (FDPR· Foreign Direct Product Rules)은 미국...

  • 학생 체벌

    현행 초중등교육법에는 ''학교의 장은 교육상 필요한 때에 법령 및 학칙에 정하는 바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