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포기
상속을 받을 때 적극재산(재산·채권 등)뿐 아니라 소극재산(채무·유증 등)도 물려받게 되는데, 소극재산이 적극재산보다 많을 경우 상속자가 상속권을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상속인이 상속포기를 하는 순간 피상속인의 빚이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후순위 상속인에게 자동으로 전달된다. 자녀가 상속을 포기하면 손자녀에게 빚이 상속돼 마지막 상속인인 4촌 이내 방계혈족까지 모두 상속포기를 해야 ‘빚의 대물림’이 해소된다. 하지만 자신의 상속포기 사실을 후순위 친척들에게 알리지 않아 그들이 빚을 덤터기 쓰는 상황도 종종 빚어진다. 상속권이 넘어온 지 3개월 이내에 상속포기를 하지 않으면 고스란히 빚을 떠안아야 한다.
-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도시의 무분별할 확산을 막기 위해 기존 도심 체계적인 정비와 재개발을 강조하는 이론. 도시...
-
새희망홀씨대출
시중은행들이 2010년 11월부터 출시한 서민대출. 연소득 3500만원 이하 또는 ...
-
스냅드래곤 888
퀄컴이 2020년 12월 3일 공개한 프리미엄 스마트폰용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 ...
-
서브웨이 내비게이션[subway navigation]
화면상의 메뉴에 목적지를 선택하면 가장 가까이 있는 역과 주변 지도가 표시되고 그 지도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