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포기
상속을 받을 때 적극재산(재산·채권 등)뿐 아니라 소극재산(채무·유증 등)도 물려받게 되는데, 소극재산이 적극재산보다 많을 경우 상속자가 상속권을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상속인이 상속포기를 하는 순간 피상속인의 빚이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후순위 상속인에게 자동으로 전달된다. 자녀가 상속을 포기하면 손자녀에게 빚이 상속돼 마지막 상속인인 4촌 이내 방계혈족까지 모두 상속포기를 해야 ‘빚의 대물림’이 해소된다. 하지만 자신의 상속포기 사실을 후순위 친척들에게 알리지 않아 그들이 빚을 덤터기 쓰는 상황도 종종 빚어진다. 상속권이 넘어온 지 3개월 이내에 상속포기를 하지 않으면 고스란히 빚을 떠안아야 한다.
-
수소경제법
정부가 수소경제 육성과 안전을 위한 종합대책 수립의 근거가 되는 법으로 원 명칭은 '수소경...
-
세계주화책임자회의[Mint Directors Conference]
화폐와 관련된 기술, 경영, 법률, 경제사항에 대해 조폐기관간 정보 교류를 목적으로 지난 ...
-
스포츠 마케팅[sports markting]
스포츠 마케팅은 경기 시작 전부터 끝날 때까지 관련된 모든 업무를 대행하는 사업으로, 여러...
-
신자산건전성분류기준[新資産健全性分類基準, Forward Looking Criteria, FLC]
미래의 빚상환능력을 반영한 자산건전성분류기준. 금융회사의 부실여신 발생을 사전에 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