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그린 뉴딜정책

[Green New Deal Policy]

그린 뉴딜은 '그린(green)'과 '뉴딜(New Deal,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1930년대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추진한 일련의 경제정책)'의 합성어로, 기후변화 대응·에너지 전환 등 환경에 대한 투자를 통해 경기부양과 고용 촉진을 끌어내는 정책을 말한다.

그린 뉴딜은 기존 경제·산업 시스템을 저탄소 경제구조로 전환시키는 대변혁을 지향하며, 기후위기와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을 핵심으로 한다.

이 개념은 2007년 토머스 프리드먼의 저서 「그린코드(Code Green)」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프리드먼은 미국이 기후위기를 극복하면서도 국제적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녹색 버전 뉴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청정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해 에너지 산업의 구조를 재편함으로써 기후변화를 억제하고,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국제 질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질서를 창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그린 뉴딜에 대한 논의는 영국과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본격화되었다.

2008년 영국에서는 정부 투자와 저탄소 인프라 구축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녹색 일자리를 창출하는 내용을 담은 '그린뉴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미국에서는 오바마 전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그린 뉴딜을 제시했고,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주요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UN환경계획에서도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으로서 그린 뉴딜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 가스수출국포럼[Gas Exporting Countries Forum, GECF]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12개국의 모임. 2001년 협의체로 출범하였으나 2008년 12월 러...

  • 교육 공무원 부조리 신고보상제

    서울시교육청이 교육 관련 공무원의 부조리를 근절하고 청렴성을 높이기 위해 7월5일 입법예고...

  • 각형 배터리

    차량용 배터리는 크게 벽돌 형태의 각형, 얇은 카드 형태의 `파우치형', 그리고 둥근 기둥...

  • 감액청구권

    1. 집을 사기로 계약한 후 집에서 하자를 발견했을 경우 바로 매매대금을 줄여달라고 청구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