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내부등급법

 

바젤II를 적용해 BIS 자기자본비율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감독 당국이 제시하는 표준모형을 따르는 경우와 자체적으로 구축한 모형을 활용하는 내부등급법이 있다. 표준모형법은 외부 신용평가회사가 제시하는 신용등급에 기반해 신용·운영 위험 등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반면 내부등급법은 은행이 내부 데이터위험관리시스템을 활용해 기업의 신용위험을 자체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말한다. 리스크 측정 요소인 부도율(PD), 부도시 회수율(LGD), 부도시 익스포저(EAD) 가운데 어느 범위까지 자체 데이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기본 내부등급법과 고급 내부등급법으로 나뉜다.

내부등급법에 대한 금융 당국의 승인을 받으려면 최근 5년간 여신에 대한 부도율, 부도시 회수율, 부도시 익스포저 등을 산출해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야 한다.

  • 나고야 의정서[Nagoya Protocol]

    특정 국가의 생물 유전자원을 상품화하려면 해당국에 미리 통보하고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익의...

  • 노년부양비

    노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담해야 하는 65세 이상 인구의 수를 의미한다. 노년...

  • 나노미터[nano meter]

    나노는 10억분의 1을 뜻한다.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나 1000분의 1마이크로미터...

  • 내부정보[inside information]

    공식화되지 않은 회사의 업무. 회사가 수행하려 하는 사업이나 과거 공표된 정보가 오류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