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혼잡통행료

 

도시 중심부의 교통량을 줄이고 대기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특정 교통혼잡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으로부터 일정한 요금을 걷는 제도.

1975년 싱가포르가 관련 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한 이래 노르웨이 베르겐시, 미국 뉴욕 맨해튼, 프랑스 파리 등에서 교통혼잡 지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부과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11월부터 서울 남산 1, 3호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혼잡통행료를 부과하고 있다.

"혼잡세"라고도 한다.

  • 하이디어[high-idea]

    하이(High)와 아이디어(idea)의 합성어다. 아이디어보다 더 발전된, 비즈니스 모델 ...

  • 해약환급금률

    보험계약의 해약등으로 계약이 소멸되었을 경우 책임준비금에서 신계약비를 공제하여 산출한다. ...

  • 화물상환증

    철도운송이나 운송취급인이 화물 기탁자에게 발행해주는 화물수탁증명의 재화증권.

  • 해지가산세

    연금저축상품에 가입한 후 5년 이내에 해지하는 경우 기타소득세 외에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