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합성적 규모

[Synthetic Scale]

합성적 규모는 중소형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외부 기술 또는 서비스 제공자와 협력하여, 자체 인프라를 보유하지 않고도 대형 은행 수준의 운영 효율성과 확장성을 실현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원래 2022~2024년경 맥킨지(McKinsey), 베인(Bain) 등 글로벌 컨설팅사와 핀테크 업계 보고서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미국·영국 등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 전략 중 하나로 주목받았다.

핵심 개념은 ‘물리적 규모의 직접 확보’가 아닌, 외부 파트너십, 클라우드 기술, API 연동 등을 통해 대형 금융기관의 기능적 효율을 모사(replicate) 한다는 데 있다. 예컨대, 소형 은행이 AI 기반 리스크 분석, KYC 자동화, 디지털 고객지원 등 고도화된 서비스를 자체 개발 없이 외부에서 도입하면, 유사한 서비스 품질과 비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와 달리, 내부 고정비 없이 외부 역량을 조합하여 효율을 합성(synthesize)한다는 점에서 구조적 차별성을 지닌다. 특히 규제 비용 상승, 디지털 격차 확대, 고정 인프라 부담 등의 과제를 겪는 중소 금융기관에게 실질적인 생존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공기관, 핀테크 기업, 리테일 은행 간 협업 모델로도 확장되며, AI 시대의 **공유 인프라 전략(shared infrastructure strategy)**으로 자리 잡고 있다.

  • 한국인정기구[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KOLAS]

    국가표준기본법에 의거 교정기관, 시험기관, 검사기관, 표준물질 생산기관의 인정을 수행하는 ...

  • 확정기여형연금[defined contribution, DC]

    확정기여형연금은 퇴직연금 제도의 한 형태로, 기업이 근로자 명의의 퇴직연금 계좌에 일정 금...

  • 한국산업은행[Korea Development Bank]

    1954년 전후복구를 위한 중요 산업자금 공급기관으로 정부가 자본금 전액을 출자하고 일제 ...

  • 해약환급금[refunds of surrenders]

    보험계약의 해지시 보험사가 보험계약자에게 돌려주는 돈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