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안전관리제도

 

제품의 위해정도에 따라 안전관리방법을 차등화(안전인증, 자율안전확인, 안전.품질표시)해 소비자들이 안전한 제품을 믿고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대상 공산품은 제품출고 또는 세관통관 이전에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신고를 해야하며 제품안전마크(KPS마크)를 부착하도록 해 불량제품의 시장진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나 소비자가 표시내용 확인만으로 안전관리가 가능한 품목에 대해서는 안전.품질표시를 하도록 의무화했다. 2007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 상승샅바형[Bullish Belt Hold]

    주로 하락추세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주가패턴. 이후 강세전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시가가 당...

  • 스냅샷[snapshot]

    시스템 메모리 상의 여러 프로세스와 모듈에 대한 읽기 전용 복사본. 휘발성 증거를 포착할 ...

  • 스낵 컬처[snack culture]

    시공간의 제약을 덜받고 과자를 먹듯 5~15분의 짧은 시간에 즐길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말한...

  • 성과지표의 순차적 세분화[Cascading]

    사업본부의 성과지표를 하위 팀 단위로, 다시 이를 개인 단위로 분해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