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안전관리제도

 

제품의 위해정도에 따라 안전관리방법을 차등화(안전인증, 자율안전확인, 안전.품질표시)해 소비자들이 안전한 제품을 믿고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대상 공산품은 제품출고 또는 세관통관 이전에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신고를 해야하며 제품안전마크(KPS마크)를 부착하도록 해 불량제품의 시장진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나 소비자가 표시내용 확인만으로 안전관리가 가능한 품목에 대해서는 안전.품질표시를 하도록 의무화했다. 2007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 상가주택

    점포 겸용 주택으로 주택지 안에 소규모 점포가 있는 주택을 말한다. 오로지 상가나 사무실이...

  • 시큐리티 홀[security hole]

    컴퓨터 프로그램 설계 중 실수가 원인이 되어 소프트웨어 결함이 일어나 안전에 치명적 약점이...

  • 심리적 부검

    전문 검사관이 자살자의 가족과 친구들을 만나 심층면접을 하고 고인의 일기 유서 등 개인적 ...

  • 상계가능보조금[actionable subsidies]

    일국의 정부 또는 공공기관으로부터의 재정지원 및 기타 소득 및 가격지원으로 특정성이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