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안전관리제도

 

제품의 위해정도에 따라 안전관리방법을 차등화(안전인증, 자율안전확인, 안전.품질표시)해 소비자들이 안전한 제품을 믿고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대상 공산품은 제품출고 또는 세관통관 이전에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신고를 해야하며 제품안전마크(KPS마크)를 부착하도록 해 불량제품의 시장진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나 소비자가 표시내용 확인만으로 안전관리가 가능한 품목에 대해서는 안전.품질표시를 하도록 의무화했다. 2007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 슬라미[slami]

    느리다는 뜻의 ''슬로(slow)''와 지진해일인 ''쓰나미(tsunami)''를 합친 말...

  • 상호금융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산림조합,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와 같은 단위조합이 조합원...

  • 시간제근로자[part-timer]

    근로시간이 짧은 비상근 파트타임 근로자.

  • 세미-노치백[Semi Notch Back]

    세단형 승용차는 뒷모습을 중심으로 노치백과 해치백으로 나뉜다. 노치백은 트렁크 룸이 돌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