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안전관리제도

 

제품의 위해정도에 따라 안전관리방법을 차등화(안전인증, 자율안전확인, 안전.품질표시)해 소비자들이 안전한 제품을 믿고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대상 공산품은 제품출고 또는 세관통관 이전에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신고를 해야하며 제품안전마크(KPS마크)를 부착하도록 해 불량제품의 시장진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나 소비자가 표시내용 확인만으로 안전관리가 가능한 품목에 대해서는 안전.품질표시를 하도록 의무화했다. 2007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 소재산업

    소재(materials)는 부품이나 기계 등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 순부채비율

    부채에서 현금·예금과 즉시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을 뺀 후 이를 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

  • 선복교환

    선박 운영 시 여유 선복(공간)을 상호 맞교환하는 형태

  • 스위칭 매매[position switching]

    선물거래에서 투자자가 실물 인수일이 다가올 때 실물 인수를 피하기 위해서 선물을 매도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