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직적성평가

[Public Service Aptitude Test, PSAT]

공직 수행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소양, 자질 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수험생 부담 과중, 종합적 자질검증 미흡 등 기존 고등고시 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됐다. 2004년 외무고시 1차 시험에 처음 적용됐으며, 2007년부터 행정·외무·입법고시 등 모든 국가고시 1차 시험에도 채택됐다. 언어논리·자료해석·상황판단 등 3개 영역으로 구성돼 있다.

  • 갑상샘암[thyroid cancer]

    갑상샘은 목 앞쪽에 있는 호르몬 분비 기관으로 신체 대사를 조절한다. 갑상샘 세포에서 돌연...

  • 가격통제[price control]

    정부나 공공기관이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가격의 상한선이나 하한선을 ...

  • 개시증거금

    선물거래는 현재의 시세를 미래 특정 시점에 결제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이므로 최종결제일에 당해...

  • 국가생물종

    2010년 정부가 발표한 국내에 서식하는 자생생물 3만6921종을 지칭하는 용어다.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