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생계비
[minimum cost of living]사람답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금액으로 임금 산출의 기초가 된다. 전 국민을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때 중위소득 가구 소득의 60%에 정도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복지부 장관이 일반국민의 소득·지출 수준과 수급권자의 실태,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매년 12월 1일까지 중앙생활보장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결정·공표한다.
최저생계비는 다음 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 및 급여 기준으로 활용된다. 월 소득이 최저생계비 아래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선정돼 국가가 생계를 전적으로 책임진다. 소득이 최저생계비를 간신히 넘으면(최저생계비의 120% 이하) 차상위계층으로 구분해 의료 등 일부 서비스를 지원한다.
2024년 기준 최저 생계비는 1인 가구 133만7067원이고 5인 가구 401만7441원이다.
관련어
- 참조어현금급여기준
-
차세대 영상이동전화[IMT-2000]
지금의 휴대전화가 음성과 소량의 데이터 중심으로 서비스되는 데 비해 IMT-2000은 음성...
-
차용증[debt acknowledgement form]
돈이나 물건을 빌려 썼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문서로 차용증서 혹은 금전소비대차계약서라고 ...
-
취업규칙
회사가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준수해야 할 규율과 임금·근로시간, 기타 근로조건에 관한 구체적...
-
총부채상환비율[debt to Income, DTI]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득을 기준으로 금융회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