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최저가격제

 

물건 가격이 일정선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 최저임금제가 대표적인 사례다.

최저가격은 시장 균형가격보다 높은 수준에 설정돼 있다. 따라서 초과 공급이 발생해 공급량은 늘지만 수요량은 감소해 거래량은 감소한다.

가격에 따른 수요부족으로 남는 공급량을 국가가 수매하지 않는다면 헐값이라도 처분하기 때문에 가격의 2중구조가 발생하게 된다.

노동시장에 최저임금제를 시행하면 비자발적 실업이 발생한다.

"가격하한제"라고도 한다.

  • 차입경영

    회사의 경영이 과도한 부채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사실상 차입경영이란 독립적인...

  • 친수구역[親水區域]

    4대강 등 국가하천 개발사업을 통해 자연환경이 개선된 구역이다. 하천 양쪽 2㎞ 이내 지역...

  • 차데모[CHAdeMO]

    원래 도쿄전력이 개발한 급속충전기 규격으로 일본의 충전기 통일 규격으로 활용되고 있다. 충...

  • 청산[liquidation]

    기업을 청산한다는 것은 공장 등 기업의 모든 재산을 돈으로 바꿔 채권자들에게 나누어주고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