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현금급여기준

 

현금급여기준은 소득이 하나도 없는 기초생활수급자에게 정부가 현금으로 줄 수 있는 최대 금액을 뜻한다.

이 기준은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 법령정보센터 등에서 제시하는 방식에 따라, 최저생계비에서 의료비나 교육비처럼 현물로 지원되는 금액과 TV수신료 같은 타 법률 지원액을 뺀 순수 현금 지원분만을 계산해 정한다.

만약 수급자에게 일정한 소득이나 재산이 있다면, 정부는 이 현금급여기준에서 가구의 소득인정액(소득평가액과 재산 소득환산액을 합한 금액)을 뺀 만큼만 현금으로 지급한다.

이 기준은 매년 물가 변동과 기준 중위소득 변화에 맞춰 새롭게 조정되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생계급여·주거급여 등 각종 현금지원의 기본이 된다.

관련어

  • 해외투자보험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투자를 한 후 투자상대국의 수용·전쟁·송금위험·약정불이행 위험으로 인하...

  • 헷넷[HetNet]

    한 개의 대형기지국(매크로셀)안에 여러개의 소형기지국(스몰셀)들을 구축해 데이터 처리 용량...

  • 환시채

    "외환시장안정용국고채"의 줄임말로 원화가치의 급격한 상승(환율 하락)을 막고 투기적 외환의...

  • 환율체제

    환율체제는 외환시장에서 외환의 수급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는 변동환율제와 환율이 변동할 때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