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최저가 낙찰제도

 

건설사업 입찰자중 최저가격으로 입찰한 업체부터 입찰금액의 적정성을 심사하여 낙찰업체를 결정하는 방식. 적정성 심의는 최저 입찰업체순으로 하되, 예정가격 등 사전에 정해진 기준이 아닌 입찰참가자가 제시한 금액의 평균을 기준으로 일정수준 이하보다 낮으면 낙찰에서 배제한다.
중소 규모 단순공사에 주로 쓰이는데 부실공사를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제도는 2001년 1월부터 1,000억원이상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PQ대상공사)에 시행해 오다가, 2003년 12월부터 500억원이상 사전심사대상공사에 확대 적용하고 있다.

  • 취업애로계층

    공식 실업자 뿐 아니라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희망자, 취업자 중 추가취업을 희망하는 불완전...

  • 참의원[參議院, House of Councillors]

    참의원은 일본 국회의 상원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1947년 헌법 제정과 함께 중의원과 함...

  • 채무불이행[default]

    공·사채에 대한 이자 지불이나 원금상환이 불가능해진 것을 말한다. 디폴트가 발생했다고 판단...

  • 청정생산

    생태계에 미치는 환경 위해 요소를 줄이기 위해 생산공정과 제품에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통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