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분양원가공개제도

 

건설업체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을 공급할 때 공사원가를 공개하는 제도. 현재는 공공택지 내에 공급되는 주택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있다. 공공택지의 25.7평 이하의 경우 택지비 직접공사비 간접공사비 설계비 감리비 부대비용 가산비용 등 7개 항목이 공개되고 있다.

그러나 2007년 9월부터는 공공 아파트 뿐 아니라 수도권과 지방의 투기과열지구의 민간 아파트도 분양원가를 공개하여야 한다. 민간 분양 원가의 경우 7개 대상 항목 중 택지비와 가산비용은 사업장별로 공개한다. 대신 일조권, 조망권 등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직접·간접 공사비, 설계비, 감리비, 부대비용은 지자체가 정한 기본형 건축비만 공개된다. 그러나 공공택지의 원가 공개 항목은 종전 7개에서 61개로 늘게된다.

  • 변동성 완화장치[volatility interruption, VI]

    주가가 직전 체결가 또는 전일 종가보다 일정 수준 이상 변동되면 2분간 단일가매매로 전환해...

  • 비사업용토지

    나대지·부재지주 소유 임야 등을 실수요에 따라 사용하지 않고 재산증식수단의 투기적 성격으로...

  • 복세편살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의 준말. 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전전긍긍하는 삶이 아니라 내...

  • 바오치[保七]

    바오치는 성장률7%를 뜻한다. 중국경제는 1991년부터 2014년까지 7%이상의 고속성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