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제상호인정협정

[Common Criteria Recognition Arrangement, CCRA]

정보보호제품의 안전성을 회원국간 상호 인정하여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국제협약이다. 1998년 미국·영국·캐나다 등 5개국이 평가·인증한 정보보호제품을 회원국 상호간 인정하기로 한 협정이 모태가 됐다. 2000년 5월, 미국·영국·프랑스 등 13개국 정부기관이 참여, ''국제상호인정협정''(CCRA)에 서명함으로써 공식 출범하게 됐다. 2006년 현재 회원국은 총 23개국으로 자국에서 직접 인증서를 발행할 수 있는 인증서발행국(CAP) 11개국, 인증서는 발행하지 않고 타국의 인증서를 인정만 할 수 있는 인증서수용국(CCP) 12개국으로 나눠진다. 우리나라는 2006년 5월 23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 공무원·군인연금 충당부채

    공무원·군인연금 가입자에게 장래 연금수급기간에 지급할 연금을 현재 가치로 평가한 금액이다....

  • 금융공학[financial engineering]

    수학적 방법론을 이용해 금융시장을 분석하거나 투자처를 결정하는 학문분야로 금융(financ...

  • 국민총처분가능소득[Gross National Disposable Income, GNDI]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총소득을 말하며, 소비율, 투자율, 저축률 등을 ...

  • 국적선[national flag carrier]

    국적선이란 자국의 국기를 달고, 자국의 선원을 태우며, 자국에 근거를 둔 선박을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