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차등의결권 주식

[dual class right]

일반 주식보다 의결권이 몇배 높은 주식으로 최대주주의 경영권 방어를 위한 제도.
창업주난 경영인이 가진 주식 1주에 복수 의결권을 부여하는 권리다.

예를 들어 최대주주가 소유한 보통주는 주당 의결권 1표를 갖는대신 ''2등급 주식''을 일반인에게 발행해 배당은 많이 주되 10주당 의결권 1표를 갖게 해 자금조달을 하면서 경영권은 쉽게 지키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구글이 2004년 공모ㆍ상장하면서 창업주들은 보통주보다 의결권이 10배나 많은 주식을 발행해 경영권을 강화하면서도 대규모 자금조달을 한 적이 있다. 미국 포드사의 경우에도 대주주는 3.7%의 지분으로 40%의 의결권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부터 차등의결권 도입을 추진해왔으며 2021년 3월 쿠팡이 미국에 상장하면서 관련법률 개정을 통한 도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쿠팡의 경우 창업자 김범석 의장이 주당 29개의 의결권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어

  • 초과급여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등 정규근로시간 이외의 근로에 대해 주어지는 수당을 말한다.

  • 청정생산

    생태계에 미치는 환경 위해 요소를 줄이기 위해 생산공정과 제품에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통합적...

  • 청약증거금[deposit for subscription]

    발행회사가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유가증권을 모집 또는 매출할 때 그 응모자가 주식대금 또...

  • 채권형펀드

    국고채 회사채 기업어음 (CP) 등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채권에 주로 운용하는 투자형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