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산효과
[negative wealth effect]자산 효과는 주식 등 자산 가치가 불어날 때 그 영향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를 말한다.
역자산효과는 반대로 자산 가치가 떨어진 여파로 소비가 위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산 가격이 떨어지면 차입 여력도 줄고 사람들은 소득이 그대로여도 소비를 줄이는 성향을 보인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가계·기업의 이자 비용이 불어나는 흐름과 겹치면 실물경제 위축 흐름이 더 두드러지게 된다.
관련어
- 참조어자산효과
-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스마트 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종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구동과 그래픽 처리를 ...
-
오모테나시
진심으로 손님을 접대한다는 뜻을 담은 일본어. 오랫동안 일본은 ‘서비스 천국’이었다. ...
-
인터캐스트[intercast]
인터넷(inter-net)과 방송(broadcast)의 합성어로 PC로 TV를 시청하고 방...
-
역 쇼루밍족[reverse showrooming]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보고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 하는 사람을‘쇼루밍족’이라하고 이와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