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자산효과

[negative wealth effect]

자산 효과는 주식 등 자산 가치가 불어날 때 그 영향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를 말한다.
역자산효과는 반대로 자산 가치가 떨어진 여파로 소비가 위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산 가격이 떨어지면 차입 여력도 줄고 사람들은 소득이 그대로여도 소비를 줄이는 성향을 보인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가계·기업의 이자 비용이 불어나는 흐름과 겹치면 실물경제 위축 흐름이 더 두드러지게 된다.

관련어

  • 오버행[overhang]

    유가증권과 통화, 원자재 등의 공급과잉을 일컫는다. 주식시장에선 언제든지 매물화 할 수 있...

  • 양자우위[quantum supremacy]

    양자컴퓨터가 슈퍼 컴퓨터의 성능을 넘어서는 현상

  • 인플레이션 헤지[inflation hedge]

    화폐가치 하락에 대비하기 위하여 주식이나 토지, 건물, 상품 등을 구입하는 것을 말한다. ...

  • 응능부담의 원칙

    각종 과세에 있어서 납세자의 부담능력에 맞게 공평한 과세를 해야 한다는 조세원칙. 응능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