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지털 TRS시스템

[digital TRS system]

유럽무선통신표준기구(ETSI)가 제정한 개방형 디지털TRS 표준 방식으로 정부가 2007년까지 대규모 국가통합지휘 무선통신망을 구축키로 한 방식과 동일한 최첨단 방식이다. 한정된 주파수 채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채널을 활용할 수 있게 한 무선이동통신을 말한다.

단일 채널의 업무용 무전기와는 달리 여러개의 채널중 사용하지 않는 빈 채널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디지털TRS는 보안성과 통화품질이 우수하고,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특히 업무용으로 적합하다. 2005년 4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한국형 디지털TRS(테트라방식)의 표준을 마련함에 따라 관련 산업의 국내 수요창출과 해외시장 개척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 딥 러닝[deep learning]

    컴퓨터가 여러 데이터를 이용해 마치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인공 신경망...

  • 디지털 권리장전[Charter of Digital Rights]

    디지털 환경에서 사람들이 가지는 기본적인 권리와 자유를 명시한 문서. 일반적으로 디지...

  • 대고객환율[customer rates]

    은행이 수출입은행 등 일반 고객과 거래를 할 때 적용되는 환율을 외국환은행 대고객매매율이라...

  • 단기사채

    종이와 같은 실물이 아닌 전자 방식으로 발행되는 1년 미만의 단기 채권, 2013년 1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