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제원자력기구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촉진하고 핵연료를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957년에 발족된 국제기구이다.

국제연합의 전문기구는 아니나 실질적으로는 이에 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활동목표는 전세계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연구개발 실용화를 장려하고 이에 필요한 물자, 서비스 설비를 제공하고 과학적 기술적인 정보교환을 촉진하며 핵분열 물질이 군사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보장 조치하는 것 등에 있다.

1957년 우리 나라 등 18개국이 창설회원국으로 참가, 설립하였으며, 2021년 8월 27일 현재 회원국은 173개국이다.

2021년 9월 27일 한국은 가입이래 최초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 의장국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2년 9월까지 1년이다.

북한은 1974년 가입했으나 1993년 2월 IAEA가 특별핵사찰을 요구하자 당해년도에 NPT(핵확산금지조약) 탈퇴를 선언하고, 1994년 6월에 IAEA를 탈퇴했다. 같은 해 10월 미국과의 제네바 합의로 복귀 했으나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 문제로 제네바 합의가 파기되면서, 2003년 다시 NPT를 탈퇴했다.

관련어

  • 공정만회비용

    조선사가 배 한 척을 생산할 때 예상한 원가보다 더 발생한 비용을 통틀어 이르는 용어다. ...

  • 검사인[inspector]

    회사 업무와 재산 상태를 조사하는 임시 직무로 상법 367조에 근거를 두고 있다. 회계 ·...

  • 고준위 폐기물[高準位廢棄物, high-level Radioactive waste]

    방사능이 매우 강한 폐기물. 사용후 핵연료나 핵연료 재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 스테인...

  • 공적수출신용기관[export credit agency, ECA]

    국내 기업의 상품 및 서비스 국제 수출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를 대신하여 운영되는 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