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급충격

[supply shock]

상품이나 서비스의 급격한 공급 증가 또는 감소에 따른 가격변화를 말한다. 1970년대의 두 차례에 걸친 에너지위기로 빚어진 오일쇼크는 부(負)의 공급충격을 일으켰다. 결국 총공급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인플레이션율을 높이고 경제성장률은 낮추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을 야기한 바 있다. 원유 가격의 급등과 마찬가지로 농산물 가격의 급격한 상승도 공급충격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한편 공급충격에는 생산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게 하는 기술진보와 같은 정(正)의 충격도 있다. 이는 총공급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는 동시에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선순환을 유발한다.

  • 공모주청약

    공모란 상장을 위해 기업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자사의 주식을 일반인들에게 매각하는 것을 말한...

  • 공개공지

    건물을 소유한 민간 건축주가 용적률 상향 등의 혜택을 받는 대가로 자신의 땅 일부를 일반 ...

  • 거래량회전율

    거래량의 증감상황으로 장기적 주가를 예측하는 유력한 투자기법. 거래량과 상장주식 총수를 비...

  • 갑상샘[thyroid gland]

    갑상샘은 목 앞쪽에 있는 호르몬 분비 기관이다. 나비 날개 한 쌍 모양으로 생겼다. 갑상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