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선택 이론

[adverse selection]

판매자가 구매자보다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시장에서는 구매자는 품질이 좋은 상품보다 역으로 품질이 낮은 상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이론.

2001년 노벨경제학상을 공동수상한 버클리대의 조지 애커로프 교수는 1970년 '레몬시장(Market for Lemons)'이란 논문에서 주식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역(逆)선택 이론'을 제시했다.

금융시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높은 대출자는 이런 시장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신용도가 낮은 대출자, 레몬만 남게 된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할 수 있는 조정기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관련어

  • 연료전지 발전설비

    액화천연가스(LNG)에서 추출한 수소와 공기 중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에너지 및 고온의 물을...

  • 유미족[Yummy]

    유미는 영어의 "Young Upwardly Mobile Mummy"의 줄임말로 "상승 지향...

  • 위임장[proxy]

    다른 사람을 위해서 어떤 행위를 하거나 대변할 것을 위임한 서류. 사실상 대리권을 수여하였...

  • 원적지관리

    정유사가 매출이 높거나 상징적인 지역에 있는 다른 회사 폴(간판)의 주유소를 자기 회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