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금융공황

 

신용관계의 급격한 붕괴로 금융시장 전반에 걸쳐 혼란이 야기된 상태.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 전쟁·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신용공황(기업간 신용 붕괴), 화폐공황(지급수단 수요의 급증)이 발생하고 모든 지불이 연쇄적으로 단절돼 상품가격 하락, 지급불능, 기업 도산, 주가급락, 환율급락 등이 나타난다. 이는 신용근융거래의 혼란을 초래하고 나아가 대출금 회수불능 등 은행공황으로까지 이어진다.

  • 관심주[hot issue]

    저가권, 또는 보합권에서 오랫동안 머물며 게걸음만 하였거나 거래량 또한 미미하여 투자자들의...

  • 국제성인역량조사[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미국·일본·독일 등 24개 참가국 성인(16~65세, 15만 ...

  • 근린궁핍화정책[Beggar-thy-neighbor policy, pooring neighbour policy]

    영국의 경제학자 J.V. 로빈슨이 명명한 용어로 다른 나라의 경제를 희생시키면서 자국의 이...

  • 관리비[administrative expense]

    생산과 판매의 직접비용처럼 특정한 기능과 쉽게 연결되지 못하는 비용. 이것은 대체적으로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