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민소득

 

① 국민소득은 한 나라 안에 있는 가계·기업·정부 등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에 새로이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가치를 금액으로 평가하여 합한 것으로 한 나라의 경제수준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국민소득은 생산의 범위 및 평가방법에 따라 국민총생산(GNP), 국내총생산(GDP), 국민순생산(NNP), 국민가처분소득(NDI), 국민소득(NI), 개인가처분소득(PDI) 등으로 나뉜다. 이와 같은 국민소득지표로 한 나라의 경제력이나 그 국민의 생활수준을 가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민소득의 생산, 분배, 지출 내역을 집약하고 경제성장률, 경제구조, 투자율, 저축률, 근로소득분배율 등 각종 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경제현실의 파악은 물론 경제정책을 수립, 평가하게 된다.

② 경상요소비용에 의한 국민순생산을 분배면에서 본 것이 좁은 의미의 국민소득(national income : NI)이다. 이는 한 나라의 국민이 제공한 생산요소에서 발생한 소득의 총액으로서 고정자본소모와 순간접세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한 나라의 국민이 벌어들인 순수한 소득을 알아보는 데 사용된다.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기존 지역 고용센터의 구직급여, 직업훈련 서비스 외에 기초생활 보장, 긴급복지 등 복지 서...

  • 결합상품

    휴대폰 초고속인터넷 인터넷TV(IPTV) 인터넷전화 등을 묶어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상품...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건강의료보험 직장가입자에 속해 건강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자격을 말한다. 직장가입...

  • 구하라 법

    양육 의무를 다하지 않은 부모가 자녀의 재산을 상속받지 못하도록 하는 민법 개정안으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