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조적 실업

[structural unemployment]

직장 수가 구직자 수보다 적어 발생하는 실업이다. 여러 실업의 형태에 비해 가장 장기적이며, 만성적인 실업의 형태에 해당한다.

구조적 실업은 산업 구조의 변화나 최저임금제 실시 등으로 산업 간 인력 수급의 불균형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기술 진보로 산업 생산성이 향상되거나 새로운 산업이 태동하면서 저숙련 근로자가 도태되는 과정으로 1930년대 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이 이의 대표적인 예이다.

관련어

  • 가격정책

    원래는 기업경영에 있어 판매관리나 구매관리에 이용되는 가격정책을 의미했으나 최근에는 수출과...

  • 기초연금제

    65세 이상 노인에게 매달 일정액의 연금을 주는 제도. 자영업자나 개인의 소득을 파악하기...

  • 고객만족지수[Kore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KCSI]

    우리나라의 산업별 기업별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한국능...

  • 경과이자[accrued interest]

    최근 매수일부터 매도 또는 만기일까지 보유 기간 동안 표면금리에 의해 산출된 과세표준을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