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조적 실업

[structural unemployment]

직장 수가 구직자 수보다 적어 발생하는 실업이다. 여러 실업의 형태에 비해 가장 장기적이며, 만성적인 실업의 형태에 해당한다.

구조적 실업은 산업 구조의 변화나 최저임금제 실시 등으로 산업 간 인력 수급의 불균형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기술 진보로 산업 생산성이 향상되거나 새로운 산업이 태동하면서 저숙련 근로자가 도태되는 과정으로 1930년대 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이 이의 대표적인 예이다.

관련어

  • 그래픽 D램

    그래픽 D램은 PC, 워크스테이션, 영상재생 기기, 고성능 게임기 등에서 그래픽 카드의 명...

  • 기상 컨설턴트

    날씨요인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위험요소들을 각종 기상정보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중장기 ...

  • 기업연령지표

    한국경제신문이 창간 37주년을 기념해 발표한 ''기업연령지표''가 기업체들뿐만 아니라 투자...

  • 긱 경제[gig economy]

    산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사람을 구해 임시로 계약을 맺고 일을 맡기는 형태의 경제 방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