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조적 실업

[structural unemployment]

직장 수가 구직자 수보다 적어 발생하는 실업이다. 여러 실업의 형태에 비해 가장 장기적이며, 만성적인 실업의 형태에 해당한다.

구조적 실업은 산업 구조의 변화나 최저임금제 실시 등으로 산업 간 인력 수급의 불균형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기술 진보로 산업 생산성이 향상되거나 새로운 산업이 태동하면서 저숙련 근로자가 도태되는 과정으로 1930년대 세계를 휩쓸었던 대공황이 이의 대표적인 예이다.

관련어

  • 국제정보디스플레이 학술대회 및 전시회[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는 디스플레이 학술 및 전시회. 일본 FPD(Flat Panel Disp...

  • 고객만족지수[Kore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KCSI]

    우리나라의 산업별 기업별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한국능...

  • 고용량 이단적재 화물열차

    종전보다 두 배 많은 화물을 싣고 기존 선로를 달릴수있는 화물열차.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코...

  • 가젤기업[Gazelles Company]

    매출액과 근로자 수가 과거 3년 연속 평균 20%이상 지속적으로 고성장한 중소 기업을 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