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희석화

[dilution]

주식의 가치가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 신주가 발행될 때 주식수가 늘어나는 만큼 회사 자산이나 이익이 늘어나지 않으면 주식수가 늘어나는 만큼 회사 자산이나 이익이 준다. 1주당 순자산이나 순이익이 감소하는 것과 같은 경우다. 특히 신주를 공모할 경우 구주주에 있어서는 경영참가권의 희석화를 초래하여 불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희석화에 대비하여 구주주를 보호하기 위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한다. 시가전환사채를 발행한 후 증자 등 전환사채 소유자에게 불리한 영향을 미칠 사건이 발생하면 전환가격을 하향조정하도록 계약서에 규정을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희석화 방지조항이라 한다.

  • 해수온도차 발전[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power generation, OTEC power generation]

    따뜻한 표층수와 차가운 심해수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방식. 고온의 표...

  • 한국서비스품질지수[Korean Standard-Service Quality Index, KS-SQI]

    2000년 한국표준협회와 서울대 경영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서비스품질평가 모델. 국내 ...

  • 환경권

    좁은 의미의 환경권은 오염되거나 불결한 환경(혹은 공해)에 의해 건강을 훼손당하지 않을 권...

  • 희토류자석

    희토(rare earth)류 원소와 철, 코발트 등을 기본 구성원소로 하는 여러 영구자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