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매조건부 채권

[repurchase agreements, RP]

일정 기간이 지난 뒤 확정금리를 보태어 다시 사주는 조건으로 판매하는 채권을 말한다. 크게 1)한국은행이 통화조절 수단으로 시중은행에 판매하는 것과 2)금융기간이 수신 상품의하나로 고객에게 판매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1)한은이 취급하는 RP로는 외국환평형채권, 양곡채권, 재정채권 등이 있다. 한은은 자금이 많이 풀렸다고 판단되면 RP를 은행에 매각, 통화를 흡수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은행으로부터 RP를 재매입, 돈을 공급한다.

2)금융기관에서는 일정 기간 후 매각금액과 약정조건하에 유가증권을 매각하는 이자를 지급하고 다시 매입한다는 계약을 말한다. 이 계약의 장점은 특정 증권의 실제 만기가 투자자에게 필요한 만기로 조정될 수 있다는 점으로 실제 기업 단기유휴자금의 투자대상 및 은행의 단기자금조달수단 등 중요한 금융수단이 되고 있다.

RP거래는 단기금융시장과 채권유통시장을 연결, 채권 소화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 회전근개

    어깨관절을 덮고 있는 4개의 힘줄인 극상근, 견갑하근, 소원근, 극하근을 말한다. 어...

  • 행정전산망

    행정전산망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구축한 컴퓨터 네트워크망으로, ...

  • 화폐환상[money illusion]

    화폐의 가치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실질적인 가치의 증감을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을...

  •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

    값싼 인건비나 시장개척 등의 이유로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의 국내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20...